대한민국 한국 로스트 미디어 빙산
[ 펼치기 · 접기 ]
하늘
불가사리 · 아리랑 · 춘향전 · La Maison · 왕후심청 · 최강! 탑플레이트 영어 더빙판 · 대괴수 용가리 원본 · 기가 트라이브 · 영혼기변 라젠카 영어 더빙판 · 아이러브에그 · 달려라 호돌이 · 우주괴인 왕마귀 · 유후와 친구들 영어 더빙판 · 짱구는 못말려 3 : 돌아온 짱구 · 꿈돌이 · 전원일기 · 박주영 키우기 · 평화의 시대 · 수수께끼 블루 · 짱구 (교육용 영어 더빙판) · 홍철아 장가가자 2
빙하 1층
호랑이 선생님 · 전설의 고향 · 심슨 가족 더빙판 · 슈퍼마리오 슈퍼 쇼! 한국 버전 · 방귀대장 뿡뿡이 초기 방영분 · 춤추는 외계인 아고 더빙판 · 만추 · 리듬스타 2 음악 데이터 · 안전가족 · 별의 커비 더빙판 · 파티천국 · 포춘골프2 ·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더빙판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황금 구조대 -너도 골드뱅크에 도전하자!- · 슈퍼 타이탄 15 · 게임빌 프로야구 2008 한글판 · 도성 더빙판 · 한경이 마스크를 벗은 무대
빙하 2층
스파크맨 · 증언 · 바이오캅 윙고 · 스피어즈 영어 더빙판 · 투포야 놀자 더빙판 · 메디컬 아일랜드 영어 더빙판 · 우정의 그라운드 · 독수리전선 영어 더빙판 · 동키콩 더빙판 · 잉글리쉬 핑구 · 오인용 애니메이션 · 클로버 4/3 4화 · 달려라 록키 · 시발자동차 CM송 · 악동이 스페셜 · 재동아 학교가자 (17~26화) · 태권왕 강태풍 · RE:MINT · 은하철도 999 MBC 초기 더빙판 · 도라에몽의 자연여행 · 보글보글 for kakao · 별난깜찍 수호천사 · 컴퓨터를 배웁시다 · 스피드 012 콘서트 · 님 (희곡)
빙하 3층
2019년 북한 대 한국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2차 지역예선)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한국판 · 젓현무 · 흙오이 · 북간도 · 대원군 · 왜 그리스는 새벽에 축구해요? · 노무현이 전두환에게 명패를 던진 영상 · 개구리 남편 · 박주임 · 눈이 나리는데 · 꽃피는 팔도강산 · 이성계 · 트라이 킹덤 · 이조여인 오백년사
빙하 4층
· 펭킹 라이킹 · 바니와 친구들 · Yellow Pig ·대한뉴스 1~21호 · 고바우 영감 (영화) · 탈옥수 신창원 · 시키면 한다! 약간 더 위험한 방송 · 2PM의 와일드 바니 마지막화 · 무도탐정사무소 2부 · 열혈택시 1 · 야후! 카툰세상 · TVroh.com · WCG 2003 개막식, 폐막식 방송
빙하 5층
뚝딱박사 핌 · 김치 VS 초밥 · 뉴 베이비 모차르트 · 싸이킥 히어로 · 킹 오브 더 힐 더빙판 · 한글 윈도우 2.1 · 호랑이의 분노 1 · 정의의 사자 라이파이 · 매직램프 · 유리의 성 · 사직골 구서방 · 파도 · 우주소년 토토 · HLKZ-TV · 파란 눈의 며느리 · 통곡의 종 · 강변 살자
빙하 6층
강감찬 · 첫경험 · 수양대군 · 결혼상담소 · 난중일기 · 박스컵 축구대회 · 테러리스트 2 · 사이파이 해리 더빙판 · Music Painter NES · 물방울 요정 몽이 애니메이션 · 디 데이 · 스파이더맨 TAS 더빙판 · 배트맨 TAS 더빙판 · 007 북경특급 더빙
빙하 7층
Pikachu Screamer ·철인 삼국지 · 문종실록 11권 · 한글 윈도우 2.0 · 부산 용두산 대화재 소실 문화재 · 아키라 더빙판 · 검은수첩 · 아래아 한글 1.0 · 귀신 나오는 우주인 타로 게임 · 천국의 문 · 의리적 구토 · 팔조법 · D의 과대망상을 치료하는 병원에서 막 치료를 끝낸 환자가 보는 창밖풍경
초록 : 발견됨
주황 : 부분적으로 소실 또는 발견됨
빨강: 소실됨
하양 : 존재 여부 미확인

문종공순대왕실록 11권
文宗恭順大王實錄 十一卷
px
이름 문종실록 11권
제작 시기 1454년 ~ 1455년
제작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당시 단종·세조 치세하 조선)
현재 상태 소실됨
주제 인쇄 매체, 고문헌

개요[편집]

문종실록은 조선 제5대 국왕인 문종 이향(李珦) 재위(1450~1452) 2년 3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이다. 본래 13권 6책이 존재해야하나 현재 남아있는 분량은 12권으로 유일하게 결본이 존재하는 조선왕조실록이다. 본문의 사진은 문종실록 1권 2책의 표지이다.

소실된 경위[편집]

조선왕조실록은 선대 왕이 승하하고 후임 왕이 즉위하게 되면 실록청이라는 관청을 세워 선대 왕의 행적을 담은 기록인 사초를 모으고 편집하여 편찬하는데 최초의 편집을 초초, 두 번째 편집을 중초라 하여 초초, 중초를 거쳐 마지막 세 번째 편집인 정초 단계에 이르러서야 종이의 재활용을 위해 모든 사초를 물에 씻어 지우는 세초과정을 거치고 사고에 진열된다. 문종실록 11권은 이 총 세 번의 편집과정에서 치명적인 실수가 발생되었다.

치명적인 실수[편집]

예문관 대교 권태일(權泰一)이 서계하기를,

"신이 묘향산(妙香山)의 《실록(實錄)》을 상고하는 일로 명을 받고 내려가서 이달 16일에 기사관(記事官) 홍익준(洪翼俊)과 함께 의논하여 사고(史庫)를 열고 장경 왕후(章敬王后)의 휘호와 시호를 올린 것과 시호를 더 올린 곡절에 대해서는 이미 고찰하여 치계하였습니다. 그리고 신이 열람하던 중에 마침 문종 대왕(文宗大王) 시대의 《실록》 한 편을 보니, 그 표지에 ‘제 11권’이라고 쓰여 있었으나 그 내용은 제 9권의 내용으로서 9권은 거듭 있었으나 11권은 아예 없었습니다. 이는 필시 처음에 인쇄하여 나누어 저장할 때 권질이 잘못되어 서로 바뀌었을 것입니다. 그 편 안에 기재된 1∼2월 사적은 앞으로 고증할 수가 없게 되었으니, 매우 안타깝습니다. 전대의 역사에 빠진 일은 가벼운 문제가 아니므로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선조실록 128권, 선조 33년 8월 29일 기해 4번째기사 예문관 대교 권태일이 시호와 실록 낙질에 대한 서계하다

이 치명적인 실수라 함은 다름아닌 문종실록 11권은 11권의 표지를 덮고있지만 내용은 9권의 내용이라는 것이다. 이 치명적인 실수가 최초로 발견된 것은 문종실록의 편찬으로부터 약 150여년 뒤인 1600년의 일로 임진왜란이 종식된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였는데 예문관 대교 권태일은 소실된 실록의 복원을 위해 전주사고에 들렀다가 이 치명적인 실수로 인해 발생된 11권의 누락을 발견하고 보고하게 된것이다. 다시 말해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다른 사고 어딘가에는 권11이 2권 있었을 것이지만 앞서서 말한 임진왜란으로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모든 사본들이 홀라당 타버렸기 때문에 복원을 하지못해 11권만은 완전히 소실되고 말았다.

11권 누락에 대한 다른 기록[편집]

동지 춘추(同知春秋) 이상진(李尙眞) 등이 등서(謄書)한 실록(實錄)을 강도(江都)의 사고(史庫)에 봉안(奉安)했는데, 실록의 낙권(落卷)과 낙장(落張)의 숫자가 도합 3백여 권(卷)이었다. 강도의 실록이 비로소 약간이나마 갖춰지게 되었는데 문종조(文宗朝)의 실록 1권은 여러 곳의 사고에 모두 결본(缺本)된 까닭에 등서하여 보결(補缺)하지 못하였고, 기타 낙자(落字)와 오자(誤字)가 매우 많아 바로잡긴 했으나 그래도 미진하니, 아쉬운 일이다.
현종실록 11권, 현종 7년 1월 9일 경인 2번째기사 동지 춘추 이상진 등이 등서한 실록을 강도의 사고에 봉안하다
기사관(記事官) 이종백(李宗白)이 아뢰기를,

"신이 오대산(五臺山)의 포쇄(曝曬) 때에 보니 《문종실록(文宗實錄)》의 신미년 10월 이후 임신년 2월 이전이 빠져 있었으므로 감히 아룁니다마는, 인쇄한 종이가 얇고 나쁘며 또 주필(朱筆)한 흔적이 있었으니, 찬수(纂修)할 때의 중초(中草)일 듯합니다."

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여러 곳의 포쇄 때에 상고하여 여쭈도록 하라."

하였다.
영조실록 19권, 영조 4년 10월 29일 병오 1번째기사 기사관 이종백이 오대산의 포쇄에 대해 아뢰다
한림(翰林) 조영국(趙榮國)이 말하기를,

"《문종실록(文宗實錄)》 제11편이 본관(本館)과 적상산(赤裳山)·태백산(太白山)의 여러 사고(史庫)에 누락되었으니, 청컨대, 오대산(五臺山) 사고의 포쇄(曝曬) 행차 때 사관(史官)으로 하여금 본관에 도착한 뒤 각본(各本)을 전서(傳書)하여 여러 사고(史庫)에 나누어 보관하게 하소서."

하니, 임금이 합당하게 여겼다.
영조실록 36권, 영조 9년 11월 4일 신사 2번째기사 《문종실록》 11편이 사고에 누락되어 있는 문제를 논의하다